*오갈피나무
오가피(五加皮)
[학명] Acanthopanax gracilstyius W. W Smith
[채취] 여름. 가을 뿌리껍질을 벗겨내어 햇볕에 말린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 간경. 신경.
[약리] 항염증작용. 진통해열작용. 심장혈관에 대한 영향.
[약효 및 주치] 風邪(풍사)를 몰아내고 濕邪(습사)를 없애고 근골을 강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잘하게 하며 어혈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風寒濕(풍한습)으로 인한 저림. 근골경련. 요통. 음위. 각약. 소아 보행 기능의 지연. 수종. 각기. 창저 창독. 타박상. 노상.
[용법 및 용량] 1.5~3돈을 달이거나 술에 담그거나 환제 산제로 복용한다.
[금기] 음이 허하고 화가 성한 경우에는 신중히 복용한다.
[개요]
오갈피나무는 높이 2~3m쯤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잎 모양이 인삼을 쏙 빼닮았고 줄기나 가지에 큰 가시가 드물게 붙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오갈피나무가 여러 종류 자라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중부와 북부 지방의 높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가시오갈피가 항종양작용을 비롯하여 약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오갈피나무는 정신적 육체적 피로를 풀어주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며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마비된 것을 풀어주는 보약으로 이름이 높다. 특히 생계의 기능 평형을 조절하여, 몹시 춥거나 덥거나 산소가 희박하거나 깊은 바다 속 같은 곳에서 오래 견딜 수 있는 적응력을 높이는 작용이 뛰어나다.
가시오갈피는 생체의 방어기능을 높여주는 동시에 뚜렷한 항암활성이 있다. 가시오갈피를 알코올로 추출한 것은 좀흰생쥐의 엘리히복수암과 사르코마-180에 대한 억제 율이 40.2~68%였고, 또 정신과 육체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었으며 백혈구의 수를 늘렸다고 한다. 또 오갈피의 알코올 추출물이 흰 생쥐의 와크씨암의 전이를 막는 효과가 있었으며, 일본에서 판매하고 있는 오갈피를 달인 물은 체외실험에서 JTC-26 암세포 억제 율이 90%를 넘었다.
중국에서는 위암에 가시오갈피 엑기스로 만든 알약을 3알씩 하루에 3회 복용하고,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백혈구가 감소된 증상에는 가시오갈피 15~30g를 시루에 쪄서 먹는다고 했다. 또 민간에서는 소화기 계통의 암에 가래나무의 덜 익은 푸른 열매와 가시오갈피를 2개월 동안 술로 우려내어 복용한다. 북한에서도 유선암 80예, 구강암 80예에 가시오갈피로 만든 약을 써서 일정한 효과를 보았다고 한다. 가시오갈피는 신경쇠약, 당뇨병, 동맥경화, 류머티즘 관절염, 몸이 허약할 때 등에 매우 훌륭한 보약이다.
『동의보감』에는 오갈피에 대해 이렇게 적혀 있다.
“성질이 따뜻하며(약간 차다고도 한다). 맛은 맵고 쓰며 독이 없다. 5로 7상을 보하며 기운을 돕고 정수를 보충한다. 힘줄과 뼈를 든든히 하고 의지를 굳세게 하며 남자의 음위증과 여자의 음부 가려움증을 낫게 한다. 허리와 등골뼈가 아픈 것, 두 다리가 아프고 저린 것, 뼈마디가 조여드는 것, 다리에 힘이 없어 늘어진 것 등을 낫게 한다. 어린애가 세 살이 되어도 걸어 다니지 못할 때 먹이면 걸어 다닐 수 있게 된다. 위로 5거성(五車星)의 정기를 받아서 자라기 때문에 잎이 다섯 갈래인 것이 좋다. 오래 살게 하며 늙지 않게 하는 좋은 약이다.”
『동의학사전』에는 오갈피에 대해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도우며 정수를 불려준다. 또한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중추신경계 흥분작용, 방사선 피해막이작용, 유기체의 비특이적 저항성을 높이는 작용, 강심작용, 강장작용 등이 밝혀진다. 간, 신이 허하여 힘줄과 뼈가 연약하고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데, 각기, 음위증, 음부 가려움증, 어린애의 걸음걸이가 늦어지는 데 쓴다. 또한 방사선병 예방치료에도 쓰고 신경통,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에도 쓴다. 하루 6~9g를 달임약, 가루약, 알약, 약술 형태로 먹는다.”
『동의학사전』에 가시오갈피에 대해서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이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간경, 신경에 작용한다. 기를 보하고 정을 불려 주며 간신을 보한다. 약리실험에서 중추신경 흥분 작용, 피로 회복 촉진 작용, 면역 부활 작용, 방사선 막이 작용, 혈당량 낮춤 작용, 백혈구 늘림 작용, 강장 작용, 염증 완화 작용, 기침 멎이 작용, 가래 삭임 작용 등이 밝혀졌다. 몸이 약하고 기운이 없는데, 피로, 당뇨병, 동맥경화증, 저혈압, 류머티스성 심근염, 관절염 및 류머티스성 관절염, 신경통 등에 쓴다. 하루 5~15g를 달임 약으로 쓴다.”
'-책 : 암 없이 100세 살기- > 5. 우리 몸을 치료하는 우리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살나무(鬼箭羽)-참빛살 나무 (0) | 2017.12.20 |
---|---|
산죽(조릿대) (0) | 2017.12.18 |
까마중(용규) (0) | 2017.12.14 |
와송. 바위솔 (0) | 2017.12.13 |
짚신나물(선학초 仙鶴草) (0) | 201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