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의 진통효과 입증 욕설이 단기적인 진통효과가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킬 대학 심리학과 리처드 스티븐스와 클라우디아 움란드 교수팀은 최근 '고통연구 저널'에 실은 논문을 통해 '욕설이 단기적인 진통 효과를 가져 오지만 남용하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다'는 실험 결과를 소..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11.12.06
아파도 침묵하는 肝…소리없는 아우성에 귀 기울여라 A형간염 20~30대 발병 빈번 술잔 돌리는 일은 절대 금물 B형간염 모태감염이 일반적 가족력 있다면 예방주사 필수 별도 백신 없는 C형간염 비위생적 문신·부항 주의를 간은 전체의 80% 이상 손상돼도 제 역할을 묵묵히 수행한다. 어지간한 손상에는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하지..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11.10.26
만성질환 “가만히 있는 게 최고의 치료법”| 만성질환 “가만히 있는 게 최고의 치료법”| 헤럴드경제 만성질환은 '21세기 판 페스트'다. 국제보건기구(WHO)는 최근 보고서에서 "심장병, 뇌졸중, 암, 당뇨병 등 만성질환으로 한 해 3500만명이 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사망자에의 60%에 해당한다. 이처럼 인류의 보건 최대목표가 '전염병 ..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11.10.21
식약청 "타이레놀 등 진통제 과다복용시 부작용" 경고 - "일반 진통제 과량·장기 복용땐 간손상·위장출혈" [이데일리 문정태기자] 보건당국이 의사 처방없이도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진통제들을 과다복용 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일반의약품인 해열·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제제나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6.13
아스피린 심장질환 예방 효과 의문 (런던=연합뉴스) 이성한 특파원 = 심장질환 예방 차원에서 상시 복용하는 저용량 아스피린이 건강한 사람에게는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BBC는 30일 임상 환자 10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인용해 심장마비나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사람들이 저용량 아스피린..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6.01
국내 첫 집단감염… 신종플루 [서울신문]신종플루 감염자와 함께 같은 건물에서 생활한 영어강사들이 전국 각지에서 활동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멕시코나 미국에서처럼 대규모 감염확산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계절성 인플루엔자와 달리 높은 기온에서도 환자가 늘고 있어 장기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5.25
AI억제하는 김치, 신종플루에도 효과만점? [머니투데이 정진우기자] 잘 익은 김치가 조류인플루엔자(AI)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온 가운데 김치가 최근 전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는 신종 인플루엔자(플루)에 대한 예방식품으로서도 가치가 있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한국식품연구원에 따르면 김치의 AI억제 효능 연구를 한 결과 ..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5.21
신종플루에 강한 한국인…김치 먹는 식습관 때문? < 8뉴스 > SBS < 앵커 >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런 일본과 다르게 벌써 보름째 추가확진환자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어떤 차이 때문일까,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기자 > 신종플루 환자가 중국 7명, 일본 238명에 달하지만 우리나라는 환승객을 제외하면 보름이상 추가 환자..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5.21
수족구병ㆍA형간염ㆍ로타바이러스까지 감염 비상 헤럴드경제 신종 플루(인플루엔자A/H1N1)의 빠른 전염성과 함께 최근 수족구병, A형 간염까지 발생하면서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지고 있다. 바이러스성 질환은 감염성이 높고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의 경우 더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최근 중국발 수족구병 경보에 ..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5.20
마음의 병 다스리기, 정신과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마음의 병 다스리기, 정신과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한국은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제일 높은 국가다. 하지만 이에 비해 정신과에서 상담을 받는 사람의 비율은 지극히 낮다. 치료 기록이 남아 사회생활에 악영향을 준다는 등 진료에 대한 여러 오해로 정신과의 문턱을 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과연 .. -건강과 약초-/건강 정보 교실 2009.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