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암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암)을 직장암이라고 한다. 직장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다. 직장암은 직장 벽의 가장 안쪽 층인 점막 층에서 발생하며 점막하층으로 진행되고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장막층의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선암의 대부분은 선종이라는 양성 종양(폴립, 용종)이 진행되어 발생하고 선암 이외에도 림프종, 육종, 유암종(카시노이드), 편평상피암, 전이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직장암의 원인은 대장암과 같이 식습관과 관련이 많은데 동물성 지방의 과다 섭취. 고열량의 음식,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비타민D의 부족. 뛰기거나 굽는 음식, 운동부복. 비만, 염증성 질환(장궤양ㆍ크론병), 지역적인 특성 등 환경적인 요인과 직장암이나 대장 선종을 가진 환자의 가족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직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은 유전적인 요인을 들 수 있다.
조기 직장암은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직장 내시경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진행성 직장암은 직장암이 진행됨에 따라 동반되는 증상 중 가장 흔한 증상은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과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다. 거의 모든 예에서 배변 습관의 변화가 있으며, 변비가 심해지거나 설사가 동반될 수 있다. 배변 후에도 완전한 배변감을 느끼지 못하고 대변이 남아있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말기가 될 때까지 통증이 없다.
말기가 되면 주위 신경을 침범하여 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직장 아래 부분에 위치한 암의 경우 항문을 침범해서 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직장암이 진행되어 직장 주위에 위치한 방광과 난소, 질을 침범하면 그 부위에 염증을 유발하고, 복수가 생길 수 있으며 직장과 방광이나 질 사이에 구멍이 생겨 대변이 소변에 섞여 나오거나 질로도 나올 수 있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난 경우라면 이미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진행된 단계에서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직장암 관련 증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 갑자기 변을 보기 힘들어지거나 변을 보는 횟수가 변하는 등의 배변 습관의 변화
• 설사, 변비 또는 배변 후 후중기(변이 남은 느낌)
• 혈변(선홍색 또는 검붉은 색) 또는 점액질변
• 예전보다 가늘어진 변
• 복부 팽만감, 복통
• 체중이나 근력의 감소
• 피로감
• 식욕 부진, 소화 불량, 오심과 구토
직장암의 병기
• 0기: 암이 직장 점막에 국한된 경우
• 1기: 암이 직장 밖으로 퍼지지 않고 직장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
• 2기: 암이 직장을 넘어 주변조직으로 퍼졌으나 림프절로의 전이가 없는 경우
• 3기: 암이 주변 림프절로 전이 되었으나 간이나 폐 등 다른 장기로 퍼지지 않은 경우
• 4기: 암이 간, 폐 등의 다른 장기로 퍼진 경우
'-책 : 암 없이 100세 살기- > 4. 암의 종류별 병리와 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 (0) | 2017.12.23 |
---|---|
대장암 (0) | 2017.12.19 |
신장암 (0) | 2017.12.15 |
췌장암 (0) | 2017.12.13 |
폐암 (0) | 2017.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