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암
갑상선에 혹이 생긴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며, 갑상선 결절은 크게 양성 결절과 악성 결절(암)로 나뉜다. 갑상선에 생긴 악성 결절을 총칭하여 갑상선암이라고 한다. 악성 결절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다른 곳으로 암세포가 퍼져서 생명을 잃을 우려가 있다. 악성 결절은 전체 결절의 5% 내외를 차지한다. 갑상선암은 기원하는 세포의 종류나 세포의 성숙 정도에 따라 분류한다. 갑상선암을 기원하는 세포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여포세포에서 기원하는 유두상암, 여포암, 역형성암 등과 비여포세포에서 기원하는 수질암, 림프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미경으로 암세포를 관찰하면 성숙이 비교적 잘 된 분화 암은 정상 세포를 많이 닮아 있고, 미분화 암은 정상 세포와 거의 닮지 않고 미성숙한 형태를 보이며 이 둘의 중간 단계인 암도 있을 수 있다. 유두상암, 여포암은 분화암이다. 분화 암과 미분화 암을 구분하는 이유는 미분화 암과 분화 암의 성질이 달라 분화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며, 또한 미분화 암이 분화 암에 비해 분열 속도나 퍼져나가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미분화 암이 분화 암에 비해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다.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발생하며 주요 발생 원인으로는 방사선과 유전적 요인이 밝혀져 있다.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갑상선암의 흔한 증상은 통증이 없는 목의 덩어리로,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의해, 또는 신체 검진 시 의사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목의 앞부분에 결절이 있으면 갑상선암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갑상선암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
최근에는 목에서 덩어리를 발견하여 찾아오는 환자보다는 건강검진 시 우연히 갑상선 결절을 발견하여 검사 후에 갑상선암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이러한 경우 대부분 증상은 없다.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단발성보다 다발성이 위험하다.
다음과 같은 주요 증상이 있다.
• 결절이 크거나 최근에 갑자기 커진 경우
• 결절이 커서 기도나 식도를 눌러 호흡 곤란 증상이나 음식물을 삼키기 힘든 증상이 있을 때
• 갑상선에 덩어리가 있으면서 목소리 변화가 같이 있을 때
• 결절이 주위 조직과 붙어 있어 잘 움직이지 않을 때
• 결절이 매우 딱딱하게 만져질 때
• 결절과 같은 쪽에서 림프절이 만져질 때
• 가족 중에 갑상선암 환자가 있고 갑상선에 결절이 만져질 때
• 나이가 20세 이하이거나 60세 이상일 때
'-책 : 암 없이 100세 살기- > 4. 암의 종류별 병리와 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종양 (0) | 2018.01.10 |
---|---|
전립선암 (0) | 2018.01.08 |
식도암 (0) | 2018.01.04 |
자궁암 (0) | 2018.01.02 |
유방암 (0) | 2017.12.23 |